Jsp (10) 썸네일형 리스트형 (web) HTTP Error Code 정리(404, 500 등등) HTTP 에러 코드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.! 우선 정의는 아래와 같습니다.! HTTP 에러 코드 HyperText Transfer Protocol (HTTP)를 통해 통신하는 웹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 중에 발생하는 문제를 나타내는 코드입니다. 이러한 코드는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하는 메시지로,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지 못했음을 나타내며, 그 원인을 설명합니다. 일반적으로 3자리 숫자로 표시되며, 각각의 숫자 범위는 특정 유형의 문제를 나타냅니다. 자주 보는 에러 코드 먼저 정리하겠습니다. 에러 코드(Error Code) 설명 예시 404 (Not Found) 가장 잘 알려진 HTTP 에러 중 하나로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리소스를 서버에서 찾을 수 없음을 나타냅니다. 사용자가 브라우저에서.. Jsp - include page 를 이용한 화면 전환 TOP.jsp TOP Login | Join FOOTER.jsp Footer LEFT.jsp 신상품 인기상품 BestItem.jsp 인기 상품 NewItem.jsp 신상품 출력 값 JSP forward방식을 이용해 값을 넘겨보자.2!! 이곳은 end페이지입니다. 경로는 forward_action2.jsp로 나타납니다. page_control 페이지에서 이름을 입력받고 action2.jsp에서 포워드 방식으로 end페이지로 값을 넘기면 forward_action2.jsp에 경로로 나타난다. page_control.jsp forward : forward_action2.jsp page-control_end.jsp forward action 및 sendRedirect 지금 보이는 화면은 page_control_end.jsp 에서 출력한 결과 입니다. 이름 : 전화번호 : JSP 에러 페이지를 만들어보자! web.xml Classt index.html index.htm index.jsp default.html default.htm default.jsp 500 /500errorPage.jsp 500errorPage.jsp 페이지가 없는데..? testerror.jsp testerror 페이지는 500 에러가 떠야한다. 에러 처리해주는 부분을 xml 에 추가하여 500errorPage.jsp 페이지가 출력된다. 출력값 500errorPage.jsp 출력값 페이지 JSP forward를 이용하여 값을 넘겨보자! forwardA.jsp 첫번째 페이지 이름 직업 슈퍼맨 배트맨 관심분야정치 사회 정보통신 forwardB.jsp forwardC.jsp 3번째 페이지 session 값 이름 : 직업 : 관심분야 : 순서는 A > B > C forward를 사용한 경로 B (최초)가 표시된다.(C 가 나타나지 않고 B가 나타남) 출력값 시작 forwardA.jsp 포워드를 준 주소 B > 안에 내용은 forwardC.jsp > 최초의 주소가 보인다. forwardB.jsp JSP session을 값을 넘겨보자! sessionFormC.jsp 3번째 페이지 session 값 이름 : 직업 : 관심분야 : sessionFormA.jsp 첫번째 페이지 이름 직업 슈퍼맨 배트맨 관심분야 정치 사회 정보통신 sessionFormB.jsp 순서는 A > B > C 출력 값 JSP get 방식 한글깨짐 및 post 방식 한글깨짐 방지해보자 GET 방식 한글 깨짐 Tomcat 서버 폴더 안에 server.xml 클릭해준다. 63번째 줄 connector 부분에 추가해준다 -> URIEncoding="UTF-8" POST 방식 한글 깨짐 POST로 설정 시 저기 네모 박스 안에 있는 UTF-8 설정과 탱크 안에 코드를 추가 JSP scope 객체 종류 가 무엇이고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자 4개의 객체 범위 (scope) scope 범위는 page , request , session , application 순이다. scope 범위표 page -한 번의 클라이언트 요청이 들리면, 하나의 JSP 페이지가 응답한다. -page 영역은 이때 하나의 JSP 페이지 내에서만 객체를 공유하는 영역이다. -PageContext가 내장 , page 영역에서만 유효 request - 요청을 받아서 응답까지 객체가 유효한 영역 - 서블릿에서 포워드(forward) or 인클루드(include)를 사용하면, 이 객체가 공유돼서 request 영역이 된다. - 서블릿에서 JSP로 객체를 보낼 때 사용 - request.setAttribute("이름", 객체); -> 전달 -> Object obj = re.. 이전 1 2 다음